본문 바로가기

🪲 bugs18

🐛 Error: EKS 워크 노드 생성에 실패했다... NodeCreationFailure : Unhealthy nodes in the kubenetes cluster 발생 상황AWS EKS 클러스터를 만드는 도중, 워커 노드 그룹 생성에 실패한 상황.AWS 콘솔을 찾아보니 이런 상태 문제가 발생해 있었습니다. 노드로 쓰일 컴퓨팅 리소스는 잘 생성이 되었으나 한참을 생성중인 상태더니 결국 이런 상태가 뜬 겁니다. 발생 원인관리형 노드 그룹의 노드가 15분 내에 클러스터에 연결되지 않으면, NodeCreationFailure 라는 상태 문제가 발생합니다.콘솔 상태가 Create failed로 설정됩니다. AWS 사용자 가이드에서 NodeCreationFailure를 찾아보면 이렇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NodeCreationFailure시작된 인스턴스를 Amazon EKS 클러스터에 등록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오류의 일반적인 원인은 노드 IAM 역할 권한이 충분하지 않거.. 2024. 5. 11.
🐛 Error: MacOS에서 Kind로 구축한 k8s 클러스터의 Deployment external IP에 접근을 하지 못합니다 발생 상황 ``` ☁ _Lecture_k8s_starter.kit [main] ⚡ kubectl get services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chk-hn LoadBalancer 10.96.253.167 192.168.1.11 80:30941/TCP 12m ``` 쿠버네티스 실습 중에 LoadBalancer service를 만들고 클러스터 내부와 외부에서 External IP로 각각 접근을 실행하였습니다. 클러스터 내부에서는 문제없이 접근할 수 있었으나, 클러스터 외부에서는 timeout이 발생하였습니다. 외부에서 ping을 날려봤지만, timeout이 됩니다. curl 192.168.247.5:30623 // 응답없음... 발생 원인 추측했던 원.. 2024. 4. 6.
🐛 Bugs: MacOS에서 Sonoma 업데이트 이후 Embedded Redis 시작되지 않음 발생 상황 `EmbeddedRedis` 가 적용된 테스트를 실행시키려고 할 때, 다음의 에러 로그가 뜬 후 프로세스가 죽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Can't start redis server. Check logs for details. Redis process log:` 그러나 process 가 이미 죽어버려서 로그를 볼 수도 없는 상황. 해당 문제에 대해 사수님께 질문하여 'OS 문제인 것 같다' 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발생 원인 얼마 전에 MacOS를 Sonoma 14.x로 업데이트 했는데, 그로 인해 OS security policy가 변경되며 `EmbeddedRedis` 실행에 실패했던 것입니다. [👉 related issue] Most likely security policies forbid th.. 2024. 3. 2.
Github action 에서 예외 발생시 디버깅을 해보자 (feat. gradle) 발생 상황 local에서는 build가 되는 상황. 갑자기 github action에서 이런 에러가 났습니다...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at 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132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at ConstructorResolver.java:800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at ConstructorResolver.java:800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 2024. 1. 30.
POST, PUT 등 메서드로 서버에 API 호출시 GET으로 요청이 도달하는데요... 🤔 발생 상황 server를 띄운 후, Postman으로 요청보냈을 때 GET요청은 물론 POST, PUT, PATCH 등의 HTTP 메서드 요청이 모두 GET으로 호출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처음보는 현상이라 당황하고 어디서부터 디버깅을 시작해야할지 막막했는데요. api 서버의 프록시에도 GET요청으로 가득한 것을 보며 이것은 요청부터가 GET으로 출발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발생 원인 `HTTPS`를 지원하는 서버에 `http`로 접근하게 되면 `HTTPS` 로 리다이렉트될 때 메서드가 변환되어 호출되는 현상이었습니다. 좀 헤맸지만 아주 간단한 이유였습니다. 🤔 왜 변환이 되는 것일까? 먼저 포스트맨의 `Automatically follow redirects` 옵션을 끈 뒤, 다시 `http` .. 2024. 1. 27.
멀티 모듈을 설정하며 겪었던 예외들...(feat. Gradle, Springboot) 들어가며 1월 2일 첫 회사에 입사하고 저는 처음 접하는 스택들에 둘러쌓이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처음 접하게 된 개념 중 하나가 바로 멀티 모듈이었습니다. 사실 MSA에 대해서 학습할 때 키워드로만 접해봤습니다만, 본격적으로 이를 학습하고 구축해보는 것은 처음이었는데요. 이 과정에서 알게된 것들과 겪었던 오류 사례들을 정리해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입니다. 멀티모듈이 무엇인가? 모놀리식 Monolithic, 마이크로 서비스 MicroService Archtecture 그리고 멀티모듈..? 처음 개념을 접하며 가장 먼저 들었던 질문은 "MSA와 멀티모듈이 무슨 차이점이 있고 왜 같이 많이 언급되는가?" 하는 것이었는데요. 그래서 먼저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짚고 넘어가려고합니다. 결론적으로 모놀리식과 마이.. 2024. 1. 13.
Error: Permission to {repository} denied to github-actions[bot] 발생 상황 `README.md` 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Action을 시행하다 이와 같은 Github action 에러를 맞이했습니다. # update 관련 내용 생략 git add README.md && git commit -m "Updated README" [main 88ac2d7] Updated README 1 file changed, 25 insertions(+), 2 deletions(-) git push remote: Permission to new-pow/bookshelf.git denied to github-actions[bot]. fatal: unable to access 'https://github.com/new-pow/bookshelf/': The requested URL return.. 2023. 12. 21.
Error: Sqlite3 와 Hibernate 연동 문제 발생 상황 간단한 토이 프로젝트 세팅 중, DB를 무엇으로 쓸 지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가볍게 SQLite를 써보자고 하는 중이었는데요. (SQLite는 단일 파일 DB로서 h2와 경량화된 데이터베이스이며 인메모리로 활성화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학습의 용도로 SQLite를 시도해보기로했어요.) SQLite와 Spring JPA가 연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당시 yml spring: datasource: driver-class-name: org.sqlite.JDBC url: jdbc:sqlite:sqlite-sample.db jpa: database-platform: org.hibernate.community.dialect.SQLiteDialect 에러메시지 org.hibernate.H.. 2023. 11. 18.